반응형

 

 

20대 직장인 박 모씨는 지난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해 50만원씩 저축하고 있다. 박씨는 "곧 2년 만기가 다가오는데 새로운 청년 지원 상품에 가입할지는 모르겠다. 1~2년 안에 이직할 수도 있고 전세금을 올려줘야 할 수도 있는데 또 5년이나 돈을 묶어두기가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청년층의 삶이 더 팍팍해지고 있다. 정부도 이를 우려해 3300억원을 투입하는 다양한 지원 대책과 정책금융 상품을 내놓았다. 정책금융 상품은 추가 금리와 비과세 혜택을 주고 소득이 낮은 청년들이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겠다는 취지이지만 일부 상품의 유지 기간이 5년으로 길다 보니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축하는 습관보다는 가상화폐 등 소위 '단기 투자'에 익숙한 이들이 많은 데다 목돈이 필요한 생애 이벤트가 이어지면서 중도해지해야 할 상황도 생기기 때문이다. 

 

과거 돌풍을 일으킨 '청년희망적금'이 대표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2월 말 기준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287만명이지만 출시 1년 만에 58만명 이상이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5명 중 1명꼴로 2년 만기를 채우지 못한 셈이다. 특히 29만명 이상이 총급여 1200만원 이하 저소득자인 것으로 분석됐다. 당장 삶이 너무 팍팍하다 보니 저축보다 해지를 선택하는 악순환으로 내몰렸다고 볼 수 있다. 6월 말까지 이 이상품 해지 건수는 70만건이 넘는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6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한 정책금융 상품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했다. 총 11개 금융사에서 매달 신청을 받고 심사를 거쳐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다. 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되며, 총급여 기준 개인 소득이 2400만원 이하라면 0.5%포인트의 추가 금리도 받을 수 있다. 이런 우대금리를 모두 챙겨받고 비과세까지 감안하면 연 7.68~8.86% 금리의 일반 적금가입 효과가 있는 '효자상품'이지만 5년이라는 가입 기간이 부담스럽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지난달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을 신청한 청년은 44만명, 이 중 가입 자격을 인정받은 사람은 22만명이다. 그런데 실제 가입한 사람은 12만5000명에 그친다. 정부도 상황을 인지하고 있지만 당장 대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아 고민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 취지 자체가 '중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돕는다'인 데다 다른 상생금융 상품 만기도 5년이어서다. 

 

기존 청년희망적금을 잘 유지해왔다면 '청년도약계좌' 신규 가입을 검토해볼 만하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돌아오는 내년 2~3월부터 신청자가 몰릴 수 있으니 희망적금 미가입자들은 그전에 하기를 권한다. 2022년 한해 가구 중위소득이 180% 이하이면 되고 2024년 12월까지 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 11개 은행이 제공하는 추가 금리 조건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유리한 금융사를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KB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는 급여 이체 시 0.6%포인트, 공과금이나 통신요금 2건 자동 납부 시 0.3%포인트, 계약기간 중 주택청약종합저축 신규 가입 또는 KB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고객에게 0.1%포인트의 추가 금리를 제공한다.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고도 여력이 된다면 추가로 가입할 수 있는 보험 상품도 있다. 한화생명은 보험업권 상새금융 1호 상품인 '2030 목돈마련 디딤돌 저축보험'을 판매중이다. 설계사를 통하거나 다이렉트 사이트에서 직접 가입할 수 있다. 

 

 

 

 

 

 

※ 이 글은 경제공부를 위해 작성된 필사글입니다. 무단복제나 상업적 이용을 금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